맨위로가기

조지 뷰캐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지 뷰캐넌은 스코틀랜드의 시인이자 인문주의자, 학자, 그리고 정치 사상가였다. 그는 파리 대학교에서 교육을 받았으며, 르네상스와 종교 개혁의 영향을 받았다. 뷰캐넌은 가톨릭의 관행을 비판했지만, 개신교 종교 개혁에는 1553년까지 합류하지 않았다. 망명 생활 중에는 라틴어 교수로 활동하며, 미셸 드 몽테뉴를 제자로 두기도 했다. 스코틀랜드로 돌아와 메리 여왕의 가정교사, 세인트 앤드루스 대학교 학장, 그리고 제임스 6세의 교사로 활동하며 왕권의 제약을 주장하는 사상을 펼쳤다. 뷰캐넌은 라틴어 실력으로 당대 최고의 학자로 인정받았으며, 저서로는 《스코틀랜드인의 왕권에 관하여》와 《스코틀랜드 역사》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코틀랜드의 인문주의자 - 램지 맥도널드
    영국의 정치인 램지 맥도널드는 노동당 최초의 총리로, 두 차례 총리직을 역임하며 노동당 정부를 이끌었고, 대공황 시기에는 거국 내각을 구성하여 위기 극복을 시도했으나 당내 비판을 받기도 했지만, 후대에는 노동당 성장에 기여한 지도자로 재평가받고 있다.
  • 스코틀랜드의 인문주의자 - 존 보이드 오어
    존 보이드 오어는 스코틀랜드의 교육자, 의사, 생물학자, 정치인, 기업가로서, 동물 영양학 연구로 로웻 연구소를 설립하고, 제2차 세계 대전 중 식량 배급 수립에 기여했으며, 유엔 식량농업기구 초대 사무총장으로서 세계 식량 문제 해결에 헌신하여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다.
  • 16세기 기독교 신학자 - 장 보댕
    장 보댕은 프랑스의 법학자, 정치철학자, 경제학자이자 저술가로서, 『국가론』에서 제시한 주권 개념으로 절대주의 이론 발전에 기여했으나, 마녀사냥에 대한 견해와 저술은 비판받으며 후대 사상가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 16세기 기독교 신학자 - 후안 히네스 데 세풀베다
    후안 히네스 데 세풀베다는 스페인의 인문학자, 철학자, 신학자이자 사제로 아리스토텔레스 철학 연구에 몰두하며 스페인의 아메리카 식민지화 과정에서 원주민에 대한 스페인 제국의 지배를 옹호했고 바야돌리드 논쟁을 벌이며 식민지 정복의 정당성을 주장한 인물이다.
  • 켈트학자 - 앤드루 카니
    앤드루 카니는 통사론, 형태론, 음운론을 연구하며 켈트어파 언어를 주로 연구하는 언어학자이다.
  • 켈트학자 - 더글러스 하이드
    아일랜드의 학자이자 언어학자, 작가, 정치인인 더글러스 하이드는 게일어 부흥 운동에 헌신하고 게일어 연맹을 공동 설립하여 아일랜드 문화와 언어 보존에 기여했으며, 아일랜드 초대 대통령을 역임했다.
조지 뷰캐넌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아놀드 반 브라운코스트의 조지 뷰캐넌 초상화
아놀드 브롱코스트 작, 1581년 (스코틀랜드 국립미술관)
출생1506년 2월
출생지스코틀랜드 스털링셔 킬런
사망1582년 9월 28일 (76세)
사망지스코틀랜드 에딘버러
국적스코틀랜드
직업역사학자, 인문학자
모국어스코트어
학력
학사세인트앤드루스 대학교
석사파리 대학교

2. 초기 생애와 교육

조지 뷰캐넌의 아버지는 하이랜더[2]이자 드루마킬의 뷰캐넌 가문 출신으로, 스털링셔 킬레언 교구의 모스 농장을 소유했지만 일찍 사망했다.[3] 어머니 아그네스 헤리엇은 조지 헤리엇 가문 출신이었다.[4] 뷰캐넌은 스코틀랜드 게일어 원어민으로 킬레언 학교에 다녔다고 전해지지만, 초기 교육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4]

1520년, 삼촌 제임스 헤리엇에 의해 파리 대학교로 보내져 르네상스종교 개혁을 접했다. 1522년 삼촌이 사망하고 병을 앓던 뷰캐넌[5]은 스코틀랜드로 돌아왔다. 회복 후 올버니 공작 존 스튜어트의 프랑스 지원군에 합류, 워크 성 포위 공격에 참여했다.[6] 1525년 세인트앤드루스 대학교에서 문학사 학위를 받고, 1526년 존 메이어를 따라 파리로 갔다.[7] 1528년 파리 대학교에서 문학 석사 학위를 받고,[7] 이듬해 생트 바르브 칼리지 교수로 임명되어 3년 넘게 가르쳤다.[8] 1529년 파리 대학교 "독일 국가의 검사"로 선출되어 4개월 연속 4번 재선되었다.

2. 1. 파리에서의 유년 시절과 교육

그의 아버지, 하이랜더[2]이자 드루마킬의 오래된 뷰캐넌 가문의 젊은 아들이었던 그는 스털링셔 킬레언 교구의 모스 농장을 소유했지만, 일찍 사망하여 과부와 다섯 아들, 세 딸을 가난 속에 남겨두었다.[3] 조지의 어머니 아그네스 헤리엇은 조지 헤리엇의 가문 출신으로, 헤리엇 병원의 설립자이기도 하다. 뷰캐넌은 스코틀랜드 게일어 원어민으로, 킬레언 학교에 다녔다고 전해지지만, 그의 초기 교육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많지 않다.[4] 그의 형제 패트릭 뷰캐넌 또한 학자였다.[4]

1520년, 그는 삼촌 제임스 헤리엇에 의해 파리 대학교로 보내졌으며, 그곳에서 그는 당시 시대의 두 가지 큰 영향력, 즉 르네상스종교 개혁을 처음 접하게 되었다. 그는 그곳에서 "부분적으로는 좋아서, 부분적으로는 강요에 의해 (당시 젊은이들에게 주어진 유일한 과제였기 때문에)" 시를 쓰는 데 전념했다고 한다.

2. 2. 스코틀랜드로 귀환

1522년 삼촌이 사망하고, 당시 심각한 병을 앓고 있던 조지 뷰캐넌[5]은 파리에 머물 수 없어 스코틀랜드로 돌아갔다. 병에서 회복된 후, 올버니 공작 존 스튜어트에 의해 스코틀랜드로 파견된 프랑스 지원군에 합류하여, 1523년 말 잉글랜드와의 국경에 있는 워크 성에 대한 실패한 포위 공격에 참여했다.[6] 이듬해 그는 세인트앤드루스 대학교에 입학하여 1525년에 문학사 학위를 받았다. 그는 주로 존 메이어의 논리학 강의를 듣기 위해 입학했으며, 메이어가 파리로 옮겨가자 1526년에 뷰캐넌도 그를 따라갔다.

2. 3. 교수 및 검사

1528년 뷰캐넌은 파리 대학교에서 문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7] 이듬해 생트 바르브 칼리지 교수로 임명되어 3년 넘게 그곳에서 가르쳤다. 생트 바르브는 당시 가장 권위 있고 진보적인 칼리지 중 하나였다. 뷰캐넌은 라틴어 교육에 새로운 개혁을 도입하여 명성을 더했다.[8] 1529년 파리 대학교에서 "독일 국가의 검사"로 선출되었고, 4개월 연속 4번이나 재선되었다.

3. 신학적 입장

뷰캐넌은 로마 가톨릭 교회에 대해 에라스뮈스와 유사한 입장을 취했다. 그는 가톨릭 교리 자체를 거부하지는 않았지만, 가톨릭의 관행을 비판하는 데는 자유롭다고 생각했다. 그는 개신교 종교 개혁가들의 주장에 귀를 기울였지만, 1553년까지 그들의 대열에 합류하지 않았다.[9]

3. 1. 프란체스코회 비판

뷰캐넌은 스코틀랜드에서 처음으로 쓴 문학 작품인 "솜니움"(Somnium)을 통해 프란체스코 수도회와 수도원 생활을 풍자적으로 공격했다.[9] 그는 로마 가톨릭 교회에 대해 에라스뮈스와 같은 태도를 취했는데, 가톨릭 교리를 거부하지는 않았지만 가톨릭의 관행을 비판하는 데는 자유롭다고 생각했다. 수도사들에 대한 이러한 공격은 제임스 5세를 불쾌하게 하지 않았고, 오히려 뷰캐넌이 더욱 과감한 작품을 쓰도록 장려했다. 이후 "팔리노디아"(Palinodia)와 "프란체스카누스 에트 프라테르스"(Franciscanus et Fratres)라는 시를 통해 프란체스코회에 대한 비판을 이어갔다. 이러한 작품들은 뷰캐넌이 프란체스코 수도회로부터 미움을 받는 계기가 되었다.

4. 망명 중인 인문주의자

1539년, 스코틀랜드에서 루터교 신자들에 대한 박해가 일어나 뷰캐넌도 체포되었다. 국왕이 그의 보호를 거부했음에도 불구하고, 뷰캐넌은 탈출하여 런던을 거쳐 파리로 갔다.[10] 그러나 그는 주된 적이었던 데이비드 비튼 추기경이 대사로 파리에 도착하면서 위험에 처했고, 앙드레 드 구베이아의 초청으로 보르도로 이동했다.[10] 구베이아는 당시 신설된 기옌 대학교의 총장이었고, 그의 영향으로 뷰캐넌은 라틴어 교수로 임명되었다.[10]

야코부스 호브라켄의 원본 판화, 부캐넌


보르도에서 그는 ''메데이아''와 ''알체스티스''를 번역하고, ''입다, 혹은 서원''과 ''세례자 요한 (혹은 비방)'' 두 편의 드라마를 완성했다.[10] 미셸 드 몽테뉴는 보르도에서 뷰캐넌의 제자였으며[10] 그의 비극에 출연했다. 뷰캐넌은 줄리오 체사레 스칼리제르와 지속적인 우정을 맺었다.

1542년 또는 1543년에 뷰캐넌은 파리로 돌아왔고, 1544년에는 카르디날 레모인 칼리지의 섭정으로 임명되었다. 그의 동료들 중에는 무레투스와 투르네부스가 있었다.[12]

1547년 뷰캐넌은 앙드레 드 구베이아의 초청으로 포르투갈 코임브라 대학교에서 강의하기 위해 프랑스 및 포르투갈 인문주의자들과 합류했다. 1549년 10월 조사위원회가 임명되어 1550년 6월 보고서를 제출했다. 뷰캐넌은 루터교 및 유대교 관습 혐의를 받았다.[14] 1551년 6월경, 그는 자신의 과오를 철회하고 리스본의 상 벤투 수도원에 투옥되는 형을 선고받았다. 그곳에서 그는 ''시편''을 라틴어 운문으로 번역하기 시작하여 대부분의 작업을 완료했다. 7개월 후, 뷰캐넌은 리스본에 머무르는 조건으로 석방되었고, 1552년 2월 28일 이 제한은 해제되었다.

4. 1. 체포, 탈출 및 이주

1539년, 스코틀랜드에서 루터교 신자들에 대한 박해가 있었고, 뷰캐넌도 체포되었다. 국왕이 그의 보호를 거부했음에도 불구하고, 뷰캐넌은 탈출에 성공하여 런던을 거쳐 파리로 갔다.[10] 그러나 그는 주된 적이었던 데이비드 비튼 추기경이 대사로 파리에 도착하면서 위험에 처했고, 앙드레 드 구베이아의 초청으로 보르도로 이동했다.[10] 구베이아는 당시 신설된 기옌 대학교의 총장이었고, 그의 영향으로 뷰캐넌은 라틴어 교수로 임명되었다.[10]

4. 2. 보르도 시절

앙드레 드 구베이아의 영향으로 뷰캐넌은 보르도에 있는 신설된 기옌 대학교의 라틴어 교수로 임명되었다.[10] 그는 이곳에서 ''메데이아''와 ''알체스티스'' 번역, 그리고 ''입다, 혹은 서원''과 ''세례자 요한 (혹은 비방)'' 두 편의 드라마를 완성했다.[10]

미셸 드 몽테뉴는 보르도에서 뷰캐넌의 제자였으며[10] 그의 비극에 출연했다. 몽테뉴는 에세이 ''오만에 대하여''에서 뷰캐넌을 당대 최고의 라틴 시인 중 한 명으로 꼽았다.[11] 뷰캐넌은 줄리오 체사레 스칼리제르와 지속적인 우정을 맺었고, 후일에는 요제프 스칼리제르의 존경을 받았다.

4. 3. 파리로 귀환

1542년 또는 1543년에 뷰캐넌은 파리로 돌아왔고, 1544년에는 카르디날 레모인 칼리지의 섭정으로 임명되었다. 그의 동료들 중에는 무레투스와 투르네부스가 있었다.[12]

4. 4. 코임브라 시절

1547년 뷰캐넌은 앙드레 드 구베이아의 초청으로 포르투갈 코임브라 대학교에서 강의하기 위해 프랑스 및 포르투갈 인문주의자들과 합류했다. 프랑스 수학자 엘리 비네, 포르투갈 역사가 제호니무 오소리우가 그의 동료였으며, 몽테뉴가 "프랑스 최고의 교장"이라고 칭한 구베이아는 주앙 3세의 후원 아래 번영의 정점에 달한 대학교의 총장이었다. 그러나 총장직은 앙드레의 삼촌이자 생트바르브의 전 수장이었던 디오구 지 구베이아가 탐내고 있었다. 앙드레가 1547년 말에 사망하기 전에 디오구가 그와 그의 직원을 조사하도록 종교 재판에 압력을 가했을 가능성이 높다.[1]

4. 5. 재판과 투옥

1549년 10월 조사위원회가 임명되어 1550년 6월 보고서를 제출했다. 뷰캐넌과 디오고 드 테이베, 주앙 다 코스타(학장직을 계승한) 두 명의 포르투갈인은 재판에 회부되었다. 테이베와 코스타는 공공질서 위반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았으며, 증거에 따르면 사법 조사를 받을 충분한 이유가 있었다. 뷰캐넌은 루터교 및 유대교 관습 혐의를 받았다.[14] 그는 자신을 변호하며 일부 혐의가 사실임을 인정했다. 1551년 6월경, 그는 자신의 과오를 철회하고 리스본의 상 벤투 수도원에 투옥되는 형을 선고받았다. 이곳에서 그는 수도사들의 훈계에 귀를 기울였는데, 그는 그들을 "불친절하지는 않지만 무지하다"고 여겼다. 여가 시간에 그는 ''시편''을 라틴어 운문으로 번역하기 시작하여 대부분의 작업을 완료했다.

4. 6. 석방

7개월 후, 뷰캐넌은 리스본에 머무르는 조건으로 석방되었고, 1552년 2월 28일 이 제한은 해제되었다.

5. 스코틀랜드로 귀환

에든버러 그레이프라이어스 교회 묘지에 있는 뷰캐넌 기념비의 세부 모습


Georgius Buchananusla는 1560년 또는 1561년에 스코틀랜드로 돌아왔다.[15] 1562년 4월, 잉글랜드 외교관 토머스 랜돌프에 따르면, 스코틀랜드 여왕 메리는 매일 그와 함께 리비우스를 읽었다. 그녀는 그에게 연간 250스코틀랜드 파운드의 연금과 크로스라구엘 수도원의 토지에서 나오는 수입을 제공했다.[15] 뷰캐넌은 그녀와 로드 다를리의 결혼식에서 공연할 가면극을 썼는데, 이는 "폼파이"로 알려져 있다.[16]

르네상스 인문주의를 지지하고 가톨릭교회의 악습을 비판했음에도 불구하고, 뷰캐넌은 스코틀랜드의 가톨릭교회에 남아 있었지만, 곧 개신교 개혁 교회에 합류했다. 1566년, 섭정 모레이 백작은 뷰캐넌을 세인트 앤드루스 세인트 레너드 칼리지의 학장으로 임명하였다.[15]

1570년, 모레이 백작이 암살된 후 뷰캐넌은 어린 국왕 제임스 6세의 교사로 임명되었다. 그는 엄격한 교육을 통해 제임스 6세에게 학식을 쌓게 했으며, 문학과 학문에 대한 평생의 열정을 심어주었다.[17] 뷰캐넌은 제임스 6세를 왕권의 제약을 받아들이는 프로테스탄트 국왕으로 만들고자 했다.[18] 왕실 가정교사로 재직하는 동안 등기소장, 스코틀랜드 추밀원 인장 관리자 등의 직책을 겸임하여 의회 의석을 가졌다. 그는 적어도 1579년까지 이 직책을 몇 년 동안 계속 수행한 것으로 보인다.[19]

5. 1. 칼뱅주의 수용

Georgius Buchananusla는 1560년 또는 1561년에 스코틀랜드로 돌아왔다.[15] 1562년 4월, 잉글랜드 외교관 토머스 랜돌프에 따르면, 스코틀랜드 여왕 메리는 매일 그와 함께 리비우스를 읽었다. 그녀는 그에게 연간 250스코틀랜드 파운드의 연금과 크로스라구엘 수도원의 토지에서 나오는 수입을 제공했다.[15] 뷰캐넌은 그녀와 로드 다를리의 결혼식에서 공연할 가면극을 썼는데, 이는 "폼파이"로 알려져 있다.[16] 르네상스 인문주의를 지지하고 가톨릭교회의 악습을 비판했음에도 불구하고, 뷰캐넌은 스코틀랜드의 가톨릭교회에 남아 있었지만, 곧 개신교 개혁 교회에 합류했다. 크로스라구엘 수도원의 수입을 여왕에게서 선물받았음에도, 1563년부터 스코틀랜드 교회 총회에 참석했으며, 1566년에는 섭정 모레이 백작에 의해 세인트 앤드루스 세인트 레너드 칼리지의 학장으로 임명되었다. 그는 평신도였지만, 1567년 스코틀랜드 교회 총회 의장으로 임명되었다. 그는 2004년 첫 여성 의장 앨리슨 엘리엇이 선출되기 전까지 마지막 평신도 의장이었다.

5. 2. 세인트 앤드루스 대학 학장

1566년, 섭정 모레이 백작은 뷰캐넌을 세인트 앤드루스 세인트 레너드 칼리지의 학장으로 임명하였다.[15] 평신도였지만, 1567년 스코틀랜드 교회 총회 의장으로 임명되었다.[15] 그는 2004년 첫 여성 의장 앨리슨 엘리엇이 선출되기 전까지 마지막 평신도 의장이었다.[15]

5. 3. 스코틀랜드 교회 총회 의장

뷰캐넌은 평신도였지만, 1567년 스코틀랜드 교회 총회 의장으로 임명되었다.[15] 그는 2004년 앨리슨 엘리엇이 최초의 여성 의장으로 선출되기 전까지 마지막 평신도 의장이었다.[15]

5. 4. 교사 및 기타 직책

1570년, 모레이 백작이 암살된 후 뷰캐넌은 어린 국왕 제임스 6세의 교사로 임명되었다. 그는 엄격한 교육을 통해 제임스 6세에게 학식을 쌓게 했으며, 문학과 학문에 대한 평생의 열정을 심어주었다.[17] 뷰캐넌은 제임스 6세를 왕권의 제약을 받아들이는 프로테스탄트 국왕으로 만들고자 했다.[18]

뷰캐넌은 왕실 가정교사로 재직하는 동안 등기소장, 스코틀랜드 추밀원 인장 관리자 등의 직책을 겸임하여 의회 의석을 가졌다. 그는 적어도 1579년까지 이 직책을 몇 년 동안 계속 수행한 것으로 보인다.[19]

6. 말년

뷰캐넌은 말년에 주요 저작 두 편, 즉 《스코틀랜드인의 왕권에 관하여》(1579)와 《스코틀랜드사》(1582)를 완성 및 출판했다.[1]

그는 1582년 9월 28일 금요일, 에든버러의 케네디 클로즈(Kennedy's Close, 1637년 트론 교회 건설을 위해 파괴되었고, 현대식 헌터 광장(Hunter Square) 건설로 다시 축소됨)에 있던 2층 아파트에서 사망했으며, 다음날 그레이프라이어스 묘지에 묻혔다.[2] 묘지는 원래 '관통석'으로 표시되었지만, 1701년까지 땅에 가라앉았다.[2] 현재 그레이프라이어스에는 그의 매장을 기념하는 두 개의 기념비가 있는데, 하나는 교회 북서쪽에 있고, 다른 하나는 동쪽 길 근처에 있는 더 작은 기념비이다.[2] 더 작은(나중의) 기념비가 정확하다.[2]

7. 작품

뷰캐넌은 라틴어 학자, 시인, 역사 저술가였다.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제11판(Encyclopædia Britannica Eleventh Edition)에서는 "라틴어 숙달에 있어서 뷰캐넌은 어떤 현대 작가도 능가하기 힘들 정도"라고 평가했으며,[21] 휴 트레버로퍼는 "16세기 유럽에서 산문이든 운문이든 가장 위대한 라틴어 작가"라고 칭송했다.[21]

뷰캐넌은 시편과 그리스 비극 번역을 통해 학문적 우수성을 인정받았으며, 《세례자 요한》과 《입다》는 유럽에서 명성을 얻었다. 《Pompae》 연시는 메리 여왕의 궁정 연회를 위해 쓰였으며, 바스티안 파게즈(Bastian Pagez)가 제임스 6세의 세례를 위해 고안한 가면극에서 불린 《시골 신들의 제물》도 포함되었다.[21]

뷰캐넌은 스코트어로 레싱턴의 메이틀랜드를 풍자한 ''카멜레온''(1711년 초판), 토머스 리나커의 ''문법'' 라틴어 번역본(1533년, 파리), ''운율론 소고''(1640년, 에든버러), R. 시볼드 편집 ''자서전''(1702년) 등을 썼다. 그의 시 작품으로는 Fratres Fratermila, Elegiaela, Silvaela, Hendecasyllabonla, Iambonla, Epigrammatala, De Sphaerala 등이 있다.

만년에는 《스코틀랜드의 왕권에 관하여》(1579년)와 《스코틀랜드 역사》(1582년)를 출판했다. 《스코틀랜드의 왕권에 관하여》는 대화 형식으로, 모든 정치 권력의 근원은 국민이며 국왕은 조건에 구속된다는 주장을 담고 있다. 이 책은 출판 후 의회법에 의해 비난받고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불태워지는 등 억압받았다.

《스코틀랜드 역사》는 문체의 힘과 풍부함으로 유명하며, 특히 뷰캐넌이 직접 경험한 시기의 내용은 사료로서 가치가 높다. 초반부는 보이스의 전설적인 역사를 기반으로 하며, 뷰캐넌은 이 책을 통해 국가 역사를 "영국인의 거짓말과 스코틀랜드의 허영심"에서 "정화"하고자 했다. 이 책은 많은 논란을 일으켜 《스코틀랜드의 왕권에 관하여》와 함께 회수 및 정화 명령이 내려지기도 했다.

7. 1. 라틴어 학자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제11판(Encyclopædia Britannica Eleventh Edition)에 따르면 "라틴어의 숙달에 있어서 뷰캐넌은 어떤 현대 작가도 능가하기 힘들 정도이다. 그의 문체는 어떤 고전 작가의 문체를 엄격하게 본뜬 것이 아니라, 독자적인 신선함과 탄력성을 가지고 있다. 그는 라틴어를 마치 모국어처럼 썼다."라고 평가했다.[21] 휴 트레버로퍼는 그를 "만장일치로, 16세기 유럽에서 산문이든 운문이든 가장 위대한 라틴어 작가"라고 칭송했다.[21] 뷰캐넌은 또한 풍부한 시적 감수성과 독창적인 사상을 가지고 있었다. 그의 시편과 그리스 비극 번역은 단순한 번역 이상이며, 그의 두 비극, 《세례자 요한》과 《입다》는 학문적 우수성으로 유럽에서 명성을 누렸다. 그의 《Pompae》 연시는 메리 여왕의 궁정 연회에서 공연하기 위해 쓰여졌으며, 여기에는 바스티안 파게즈(Bastian Pagez)가 제임스 6세 국왕의 세례를 위해 고안한 가면극 동안 불린 《시골 신들의 제물》도 포함되었다.[21]

7. 2. 산문 작품

뷰캐넌은 산문으로 스코트어로 레싱턴의 메이틀랜드를 풍자한 작품인 ''카멜레온''(1711년에 처음 인쇄됨), 토머스 리나커의 ''문법''의 라틴어 번역본(파리, 1533), ''운율론 소고''(에든버러, 1640), R. 시볼드가 편집한 ''자서전''(1702) 등을 썼다.

7. 3. 시 작품

Fratres Fratermila, Elegiaela, Silvaela, Hendecasyllabonla, Iambonla, Epigrammatala, De Sphaerala 등이 그의 시 작품이다.

7. 4. 만년의 작품

뷰캐넌의 만년의 주요 작품으로는 1579년에 출판된 《스코틀랜드의 왕권에 관하여》와 1582년에 출판된 《스코틀랜드 역사》가 있다.

《스코틀랜드의 왕권에 관하여》는 대화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모든 정치 권력의 근원은 국민이며, 국왕은 최고 권력이 처음 그에게 위임되었을 때의 조건에 구속되며, 심지어 폭군에게 저항하고 처벌하는 것조차 정당하다고 주장한다. 이 작품은 출판 후 한 세기 동안 입법부에 의해 지속적으로 억압을 받았다. 1584년과 1664년에 의회법에 의해 비난받았고, 1683년에는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불태워졌다.

《스코틀랜드 역사》는 문체의 힘과 풍부함으로 유명하며, 저자가 개인적으로 알고 있는 시기의 내용이 책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어 매우 가치 있다. 초반부는 보이스의 전설적인 역사를 상당 부분 기반으로 하고 있다. 뷰캐넌은 이 책을 통해 국가의 역사를 ''"영국인의 거짓말과 스코틀랜드의 허영심"''에서 "정화"하고자 했다. 그는 이 책이 "소수의 사람들을 만족시키고 많은 사람들을 불쾌하게 할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그 내용은 너무 많은 불쾌감을 주어, 이 책과 《스코틀랜드의 왕권에 관하여》의 모든 사본을 회수하여 그 안에 포함된 "공격적이고 특이한 내용"을 정화하라는 포고령이 내려졌다.

8. 지속적인 유산

뷰캐넌은 자신의 저작보다는 후대 작가들에게 미친 강력하고 지속적인 영향력으로 문학사에서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1726년, 저명한 18세기 서적상인 앤드루 밀러는 런던 템플 바에 있는 제임스 맥이언의 서점을 '뷰캐넌의 머리'라는 간판으로 인수했는데, 이 서점의 간판은 조지 뷰캐넌의 얼굴을 묘사한 것이었다. 이는 스코틀랜드 문학에서 뷰캐넌이 초기에 차지했던 위상과 명성을 보여주는 증거였다.[24] 메인랜드 섬은 뷰캐넌의 번역 시도로 때때로 ''포모나''(또는 ''포모니아'')라고 불리기도 하지만, 그 이름은 지역에서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25][26]

9. 현대 출판물 및 영향

2006년, 뷰캐넌 탄생 500주년을 기념하여 로버트 크로포드가 편집한 뷰캐넌의 시집 선집인 《북쪽의 아폴로: 조지 부캐넌과 아서 존스턴의 시선집》이 폴리곤 북스(Polygon Books)에서 출판되었다.

세인트앤드루스 대학교의 로저 메이슨 교수는 500주년을 앞두고 《스코틀랜드 왕권에 대한 대화, 조지 부캐넌의 'De Iure Regni apud Scotos Dialogus' 비평판 및 번역본》을 출판했다.[1]

10. 기념물

프린스 스트리트의 스콧 기념탑 서쪽 면에는 존 린드가 조각한 뷰캐넌의 동상이 있다.[27]

그레이프라이어스 커크 남쪽 벽에는 기념 스테인드글라스 창문이 있다.

스털링 국립 윌리엄 월리스 기념탑의 영웅의 전당에는 뷰캐넌의 흉상이 있다.

1789년, 킬레언 (스털링셔)에 대중의 기부로 뷰캐넌 기념비가 세워졌다. 이 기념비는 건축가 제임스 크레이그의 작품이다.[28]

참조

[1] 간행물 Reformation to Union, 1560–1707
[2] 서적 George Buchanan, A Biography Simpkin, Marshall, & Co. Ltd.
[3] 서적 George Buchanan, A Biography Simpkin, Marshall, & Co. Ltd.
[4] 서적 George Buchanan, A Biography Simpkin, Marshall, & Co. Ltd.
[5] 서적 George Buchanan, A Biography Simpkin, Marshall, & Co. Ltd.
[6] 서적
[7] 서적 George Buchanan, A Biography Simpkin, Marshall, & Co. Ltd.
[8] 서적 George Buchanan, A Biography Simpkin, Marshall, & Co. Ltd.
[9] 논문 'George Buchanan and Mary, Queen of Scots'
[10] 서적 Essais I Gallimard
[11] 서적 Essais II Gallimard
[12] 서적 George Buchanan, A Biography Simpkin, Marshall, & Co. Ltd.
[13] 서적 Memoirs of the Life and Writings of George Buchanan Bell and Bradfute and A. Lawrie, and Longman, Hurst, and Rees, and Orme
[14] 서적 Illustrated catalogue of the exhibition of portraits on loan in the new galleries of art, Corporation buildings, Sauchiehall Street https://archive.org/[...] Glasgow Art Gallery and Museum 1868
[15] 논문 "George Buchanan and Mary Queen of Scots" 2000-06
[16] 서적 Inventaires de la Royne Descosse
[17] 서적 King James Palgrave Macmillan
[18] 서적 King James Palgrave Macmillan
[19] 서적 The Literary Culture of Early Modern Scotland
[20] 문서 Monuments and monumental inscriptions in Scotland The Grampian Society
[21] 서적 Song Dance and Poetry at the Court of James VI CUP
[22] citation Georgii Buchanani Scoti, Poetarum sui seculi facile principis, Opera Omnia Freebairn
[23] harvp
[24] 웹사이트 The manuscripts, Letter from Andrew Millar to Robert Woodrow, July 15, 1725. See footnote no. 1. http://www.millar-pr[...] 2016-06-01
[25] 웹사이트 Rerum Scoticarum Historia: The First Book http://www.philologi[...] 2003-03-08
[26] 웹사이트 "Pomona or Mainland?" http://www.orkneyjar[...] 2007-10-04
[27] 웹사이트 The Character Statues https://web.archive.[...] 2015-01-17
[28] 웹사이트 Craig, James (October 31, 1739 - June 23, 1795): Geographicus Rare Antique Maps https://www.geograph[...] 2024-12-17
[29] 간행물 Reformation to Union, 1560-17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